모든 정보는 해당 무료 강의를 들으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
출처는 "노마드 코더" https://academy.nomadcoders.co/courses/category/KR
Academy
% Complete
academy.nomadcoders.co
수업 내용 정리 :
프로그래밍을 처음으로 배울 때
가장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개념은?
Variables - 변수입니다.
변수란, 우리가 정보를 넣는 곳,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이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
파이썬에서 변수를 설정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a = 3
b = 2 와 같이
우리가 수학시간에 배운 것 처럼 할당을 해주면 되는 겁니다 : )
개인적으로는....
왼쪽에 오른쪽을 대입한다. 라는 문장으로 이해했습니다.
왜냐하면, 결국 우리는 위에서 언급한 3 과 2를 불러오는게 아니라,
추후에는 a 와 b를 불러오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변수(왼쪽 아이들)에는 숫자 외에 어떤 것들을 집어넣을 수 있을까요?
1. 숫자
2. 텍스트 ( We called 'String' )
3. 참 / 거짓 - True / False
여기서 텍스트의 경우
만약 a = likt this 라고 설정한다면?
일단 정의가 되지 않을 겁니다.
텍스트 ( 문자열 ) 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반드시 ""이나 ''으로 둘러쌓여있어야 합니다.
주의 사항으로는, "으로 열었다면 "으로 닫아야만 합니다.
만약 "으로 열었는데 '으로 닫는다면 ? -> 에러가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변수에는 String 외에
참 / 거짓 - True / False 도 가능합니다.
참과 거짓은 어떤 경우에 사용하는지 살펴 봅시다.
보통 우리가 게임을 하게 되면
케릭터가 죽었는지, 살았는지 알아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 경우,
케릭터가 죽었다면? False
케릭터가 살았다면? True
라던지... 어떤 상태에 대해 언급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중요한건?
c = True / d = False 에서
True와 False의 색이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텍스트(string)이 아닙니다.
그냥 그냥... True이고, False입니다.
아무튼 c = False라고 적혀있다면
Python 은 이것을 거짓, 혹은 참이 아닌 것으로 인식할 겁니다. :)
참고로, 컴퓨터는 0과 1이 쓰입니다.
0은 꺼진 것이고,
1은 켜진 것이죠! [ 따라서 False는 0에 해당합니다. ]
( 사실 코딩할 때, 0을 제외한 모든 정수는 True라고 합니다. )
또한 첫 글자는 대문자로 써야 합니다!
JAVA 에서는 true / false 라고 작성하지만,
Python 에서 이해하는 것은 True / False 입니다.
boolean 은 참 거짓을 나타내는 공통적인 요소입니다.
또한 float라고 해서 소수점 까지 나타내는 것도 마찬가지죠.
[ 물론 number와 string도 마찬가지 입니다. ]
float는 소수점 뒤에 숫자가 떠다니는 것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참고로, 3과 3.12는 같은 숫자이지만 불려지는 것은 다르다는 사실!
이처럼 다르게 불려지는 이유는 타입이 다르기 때문인데요.
어떤 타입인지 살펴보면
3 -> int ( integer = 정수 )
3.12 -> float
"like this" -> str
False -> bool
추가적으로 None은 True / False와 비슷하긴 한데,
그냥 비어있다. 즉, Empty의 개념입니다. = 없다. 라는 뜻입니다.
[이는 python에만 있는 개념입니다. 만약 JAVA에서 보신다면 아마도 'null' 이나 'undefined'라고 했을 것입니다.
물론 None은 null과 더 유사합니다. ]
또한 Python 에서는
Super_long_variable과 같이 긴 단어를 분리해서 잘 인식될 수 있도록 하고 싶다면 _를 활용하면 됩니다.
( Snake case라고 부릅니다. JAVA처럼 써도 되긴하지만, 이렇게 쓰는게 일반적이라고 하네요! )
반면, JAVA 에서는
SuperLongVariable 처럼 쓰곤 합니다.
( 이를 낙타의 등과 닮았다고 하여 camel case 라고도 한다네요 : ))
'AI > Nomad Coder - 강의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mad Coder - Python Theory 3탄 : Tuples and Dicts ( w/ 프로그래밍에서 시퀀스(sequence)란? ) (0) | 2019.12.24 |
---|---|
Nomad Coder - Python Theory 2탄 : List of Python (0) | 2019.1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