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갈 때, 우리는 고민합니다.
위탁 수하물 - 비행기의 짐 칸에 맡기는(?) 수하물 ( ex. 캐리어(30인치), 이민 가방, 골프 가방 등등 )
기내 수하물 - 비행기의 기내에 들고 탈 수 있는 수하물 ( ex. 백팩, 핸드백 등등 )
근데 저는 개인적으로
위탁 수하물을 챙길 때 조금 더 신경을 씁니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짐을 위탁 수하물에 넣기 때문이죠.
사실, 기내 수하물을 챙김에 있어서 큰 어려움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거의 노트북, 보조배터리, 여권, 등등 꼭 들고다녀야 하는 물품들로 정해져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위탁 수하물과 관련하여 제가 참고한 내용에 대해 말씀드릴려고 합니다.
항공편을 살펴봅니다.
대부분의 항공사는 위탁 수하물을 이코노미의 경우 1개만 허용하며,
사이즈는 가로+세로+두께 = 158 cm 이하( 바퀴 포함 전체 사이즈 입니다!!! ) / 무게는 23 kg 이하만 받아줍니다.
[ 비용을 내시면 언제든 추가 가능합니다. 같은 조건으로 ! ]
이게 넘는다면 어떻게 될까요?
1. 그냥 어느정도의 수치 초과는 받아주거나
2. 요금? 벌금? 을 받고 짐을 받아주거나
3. 아예 안받아주거나.... 입니다.
캐리어를 잘 사셔야 합니다.
사이즈를 보실 때, 꼭 바퀴 포함된 길이를 보셔야 한다는 점을 참고하세요.
만약 사이즈가 애매하다면(?) 후기를 참고하세요! 아주 잘 나와있답니다.
사이즈 체크만 하면 될까요?! 나라 별 입국 금지 품목이 있습니다.
나라 별로 입국 금지하는 품목을 가지고 오면 입국하실 때 문제가 발생됩니다.
행여나 금지 품목을 들고가는 경우, 공항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나라 이름 + prohibited(or Restricted ) Items"
이렇게 검색을 하시면 됩니다.
저의 경우에는 덴마크를 가기 때문에 위의 공식에 의해....
Denmark prohibited items 라고 검색했습니다.
그리고 국가 공인 코드 아시죠? 덴마크는 DK라고 웹 주소에 들어가 있습니다.
다른 여행사 사이트 들어가서 확인하시면 .... 제 블로그도 마찬가지지만
참고용에 불과합니다 : )
딱 들어가시면 아주아주아주 잘 정리가 잘 되어있습니다.
이렇게 다 확인하시고 나서 짐을 챙기시면 아주아주 좋을 겁니다 : )
사실 많은 여행객 분들에게는 해당 정보가 유용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에 장기로 나가셔야 하는 분들에게는 유용할거라 생각해요.
단지 여행과 장기 여행은...
짐 자체가 달라지기 때문이죠 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힘내서 짐 챙기시길 바랍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