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돌이란?8 [세바시 강연] 반교육의 나라에서 벗어나려면 - 김누리 ( 중앙대학교 교수 ) 행복한 유년이란 무엇인가? 청소년 자살율은 단순한 지표가 아니다. 1등이지만, 몇배 이상으로 그 비율이 높다. 매년 250명에 달하는 청소년 아이들이 자살을 한다. 청소년의 1/3이 상시적인 자살 충동을 시달린다. 이는 대부분의 아이들이 자살 충동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이다. 원인중의 41퍼센트가 학업 스트레스 이다. 아동 우울증이라는 말이 있다. 이는 '검은 백마' 라는 말과 같다. 즉, 형용모순이다. 어떻게 아이 앞에 우울이라는 형용사가 들어가는가,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교육 역사를 살펴보자. 1919 - 2019 백년을 살펴보자. 2020년은 새로운 백년의 시작이니까 말이다. Education No-Education Anti-Education 교육의 목표란? 존엄한 인간 성숙한 민주주의자를 키우는 것이.. 2020. 4. 27. 공부라는 것의 의미 수학의 공식들은 외우는 것이 아니라, 왜 그런 공식들이 나왔는지 이해를 하는 것이다. 기하학은 어떻게 나오게 된 것일까? 밭을 자식들에게 동등하게 나눠주려면, 그 밭의 크기를 알아야 하지 않았을까? 그렇게 시작하게 된 학문이 기하학이었다. 모든 공부의 시작은 'WHY'이다. 궁금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하는 공부는 알아가는 즐거움의 대상이 아니라, 진저리가 나는 대상이 될 뿐이다. 즐거움이 없는 공부는 집중되지 않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지고, 부정적인 선입견을 가지게 된다. 즉, 수학이 즐겁지 않았다면 본인이 수학에 재능이 없다는 선입견을 가지게 된다는 말이다. 무언가를 배우고자 할 때, 이 공부를 왜 해야 하는가?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그 분야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게 된다면 그것이 곧 진정한 공부의 시작이.. 2020. 2. 10. 스타트업에게 필요한 것 시장이 도달할 수 있는 크기에 비례하여, 기업의 가치가 평가된다. 스타트업의 출발선은 기술력이라기 보다는, 시장과 고객을 미리 정하고 시작해야한다는 점. 시장과 고객이 정해졌다면, 이에 필요한 기술력을 차츰 보완해나가는 방향으로 치고 나가는 스타트업이 되는 것이 가장 좋은 전략이라 판단된다. 즉, 기술을 시장이 원하는 것으로 사업화를 진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때로는 물건을 팔 생각하기 보다는, 고객을 어떻게 도울 것인가? 고객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고객이 원하는 것을 어떻게 빠르게 성취하도록 해줄 것인지? 등등 기술력은 가트너 하이프의 곡선을 따르게 된다. 하지만 중요한건, 그 곡선을 타고 가는 도중에 사라질수도 있으며 또 언제 그랬냐는 듯이, 새로운 개념과 혼합되어 나타나는 경향도 가지게 .. 2019. 12. 24. 몽돌에 관하여- 몽돌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면, 우리의 인생과 많은 부분이 닮아있다. 파도라는 강하고 반복적인 자극으로 인해 서로 부딫히며 표현이 매끄럽게 가공된다. 속이 약한 몽돌은 그 부딪힘 속에서 깨지고 사라지지만, 속이 강한 몽돌은 그 부딪힘에 더더욱 빛을 낸다. 이때 속은 우리의 자존감과 닮아있다. 파도가 더이상 닿지 않는 곳에 생겨진 몽돌들은 빛이 나지 않는다. 파도가 표현을 계속 닦아줘야 그것은 비로소 빛이 나고 소멸된다. 몽돌은 서로 닮은 것 처럼 보이지만, 사실 제 각기 다른 형태를 띄고 있다. 이는 우리의 인생과 비슷한 부분이 많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2019. 11. 12. 이전 1 2 다음